728x90
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744
문제
길이가 N인 수열이 주어졌을 때, 그 수열의 합을 구하려고 한다. 하지만, 그냥 그 수열의 합을 모두 더해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, 수열의 두 수를 묶으려고 한다. 어떤 수를 묶으려고 할 때, 위치에 상관없이 묶을 수 있다. 하지만, 같은 위치에 있는 수(자기 자신)를 묶는 것은 불가능하다. 그리고 어떤 수를 묶게 되면, 수열의 합을 구할 때 묶은 수는 서로 곱한 후에 더한다.
예를 들면, 어떤 수열이 {0, 1, 2, 4, 3, 5}일 때, 그냥 이 수열의 합을 구하면 0+1+2+4+3+5 = 15이다. 하지만, 2와 3을 묶고, 4와 5를 묶게 되면, 0+1+(2*3)+(4*5) = 27이 되어 최대가 된다.
수열의 모든 수는 단 한번만 묶거나, 아니면 묶지 않아야한다.
수열이 주어졌을 때, 수열의 각 수를 적절히 묶었을 때, 그 합이 최대가 되게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수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. N은 5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수열의 각 수가 주어진다. 수열의 수는 -1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출력
수를 합이 최대가 나오게 묶었을 때 합을 출력한다. 정답은 항상 231보다 작다.
풀이
Code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t(input())
# 1. 양수 리스트, 음수 리스트 생성
positive, negative = [], []
# 2. 수 입력받기
zero = 1
for _ in range(n) :
num = int(input())
if num > 0 : positive.append(num)
elif num < 0 : negative.append(num)
else :
if zero == 1 : zero = 0
# 3. 리스트 정렬
positive.sort(reverse = True)
negative.sort()
# 4. 변수 생성
ans = 0
# 5. 양수 리스트 길이가 홀수일 경우 마지막 값 더하기
if len(positive) % 2 != 0 : ans += positive[-1]
# 6. 음수 리스트 길이가 홀수일 경우 마지막 값 더하기
if len(negative) % 2 != 0 : ans += negative[-1] * zero
# 7. 연속된 양수를 곱해 더하기
for i in range(0, len(positive), 2) :
if i+1 < len(positive) :
ans += positive[i] + positive[i+1] if positive[i] == 1 or positive[i+1] == 1 else positive[i] * positive[i+1]
# 8. 연속된 음수를 곱해 더하기
for i in range(0, len(negative), 2) :
if i + 1 < len(negative) :
ans += negative[i] * negative[i+1]
# 9. 결과 출력
print(ans)
728x90
반응형
'Coding Test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/BOJ] 1983. 숫자 박스 (0) | 2024.02.01 |
---|---|
[Python/BOJ] 24551. 일이 너무 많아... (0) | 2024.02.01 |
[Python/BOJ] 1041. 주사위 (0) | 2024.01.29 |
[Python/BOJ] 13334. 철로 (1) | 2024.01.27 |
[Python/BOJ] 1238. 파티 (1) | 2024.01.25 |